영양지수(Nutrient Quotient)란?

영양지수표 이미지
균형, 절제, 실천의 세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· 필요한 식품을 골고루 다양하게 먹는가(균형)

· 건강에 좋지 않은 식품을 적게 먹는가(절제)

· 건강하고 안전한 식행동을 실천하는가(실천)

평가방법

- 15~2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10분 내외에 조사가 가능합니다.

- 조사 결과, 나의 영양지수 점수∙등급과 식생활 개선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평가기준
생애주기연령문항수양호기준점수
취학 전 어린이 만 3~5세 15 67
학령기 어린이 만 6~11세 19 71
청소년 만 12~18세 20 59
성인 만 19세~64세 18 69
노인 만 65세 이상 17 59
* 판정기준: `21년 국민 영양지수 조사결과(`21)를 토대로, 양호(상위 25%), 개선필요(25~75%), 개선 시급(하위 25%)으로 평가
영양지수의 평가기준
  • 생애주기
  • 연령
  • 문항수
  • 양호기준점수
  • 취학전 어린이
  • 만 3~5세
  • 15
  • 67
  • 학령기 어린이
  • 만 6~11세
  • 19
  • 71
  • 청소년
  • 만 12~18세
  • 20
  • 59
  • 성인
  • 만 19~64세
  • 18
  • 69
  • 노인
  • 만 65세 이상
  • 17
  • 59
* 판정기준: `21년 국민 영양지수 조사결과(`21)를 토대로, 양호(상위 25%), 개선필요(25~75%), 개선 시급(하위 25%)으로 평가
영양지수의 활용

◎ 개인

- 자신의 식행동 및 영양 점수 파악

◎ 집단(교육기관, 보건소, 사회복지관 등)

- 대상자의 식행동, 영양상태 파악

- 영양∙식생활 프로그램 및 상담 효과 판정

* 영양지수와 관련한 내용을 신문, 방송, 참고문헌, 세미나, 프로그램 개발 등에 인용 및 사용 시 출처를 명확하게 밝히고 (예: 식품의약품안전처(2021), 영양지수 프로그램), 사전에 주관부서(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과)에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위로 가기 버튼